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sign/ETC3

무료로 사용하는 office 소개 아주 먼 옛날, 한글과 컴퓨터가 국내에서 굳건히 자리잡던 시절부터 사람들은 해적판 office를 많이 사용해왔다. 심지어 요즘에도 보면 MS office는 2010 버전인가..? 하여튼 구버전을 설치해 인증을 하지 않은 상태로 조금씩 사용하는 사람들도 종종 발견 할 수 있다.그렇다고 돈을 주고 구매하자니.. office는 가격이 부담되는 것도 사실이다.근래에 와서는 제품들이 다 구독으로 바뀌면서 가격이 저렴해 보이지만 다들 해보면 알겠지만 구독이 몇개 쌓이면 한달에 고정지출로 나가는 금액이 쑥 늘어나는 것도 사실이기에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그리고 MS office를 구매해서 쓴다고 한들, 한달에 집에서 개인적으로 쓰는 양이 생각보다 적다면 내가 이걸 왜 쓰나 하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안사.. 2023. 7. 7.
U+공유기에서 ipTIME NAS 접속 IP찾기 가끔씩 집에 전기가 나가거나 인터넷이 나갈 때마다 항상 겪는 문제가 있다. ???: 서버 접속이 안되는데??? 그렇다고 내가 mac에서 접속을 해보면 또 잘 된다. 사실 같은 wifi에 연결된 상태이기에 이런 상황에서의 접속은 문제가 없지만 보통 저런 질문은 외부망, 즉 App에서 접속을 하거나 다른 집 IP에서 접속을 하려고 할때 안되는 문제다. 이런 경우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는 U+ 공유기에서 외부의 접속을 허락해주는 DMZ서버(포트포워딩)이 집에 설치된 NAS와 맞지 않아서 외부의 접속을 차단시켜 버리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겠지만 일반가정집에서는 고정IP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넷이 나가거나, 전기가 끊어지거나. 모종의 이유로 기기가 재부팅이 되게되면 새로운 IP를 할당.. 2023. 6. 17.
[mac] github에 연결하기 ** 이 글은 개인적인 사항을 정리하는 입장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아래의 글은 일반적으로 git init, git add, git commit 등은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제작되었다. 즉, 순수하게 git hub에 처음 remote place를 연결하기 위한 작만을 다루었고, 필자가 발생했던 오류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취했던 방법을 정리해두었다. git을 처음 공부하기에 앞서 책에서는 주로 master를 기본 branch로 취급하고있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master branch로 생각했었는데 github에서 처음 계정을 만들고 repository를 만들었을때의 branch는 main으로 설정되어있었다. 아래의 순서로 github에 연결을 진행한다. 1. local에서 처음 git을 위.. 2023. 2.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