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verilog2

[Verilog HDL] clog2 RTL을 작성하다보면 bit width를 계산하는 일이 종종있다. 특히, input/output port 선언에 있어서 정확한 bit는 각종 design check 과정에 있어서 경고를 줄일 수 있는 좋은 디자인이다.간단하게, 십의 자리 단위의 정수라면 2진수로 바꾸기도 쉽지만 숫자가 커질 수록 계산이 복잡해진다. 최근에는 계산기로 그냥 입력해서 2진수의 자릿수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지만 parameter로 선언된 bit width를 찾아가면서 상수값을로 설정 할 수 없을 뿐더러, parameter overriding 이 된다면 진짜 그야말로 완전 잘못 설계하는 RTL이 된다.이때,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연함을 끼워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clog2이다.clog2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 2025. 2. 12.
[Verilog HDL] Basic digital filter - 1 : FIR FIR(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는 한국어로 말하면 유한 임펄스 응답으로, 더 쉽게 이야기하면 "입력에 대한 응답이 유한한 시간동안 발생하며, 그 이후에는 0"이 된다는 말이다. 이걸 더 쉽게 풀어보면 어떤 시간(T)이 지난 후에는 Impulse response가 0이 된다는 뜻이다.아래의 그림은 FIR filter를 설명할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그림이다. 대충 어떤건지 표현하자면, 입력 Xn에 대해서 지연시간 Z^(-1)이 발생하고, 모든 tap이 진행된 후에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결과 Yn은 0이 된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론적인 부분은 넘어가고, 주제에 맞는 Verilog 코드와 함께 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될 수 있을 수 있다.module fir_4tap( .. 2025. 2. 9.
728x90
반응형